[한덕수 / 당시 국무총리(2024년 6월) : 오늘 국무회의에서는 남북한 상호 신뢰가 회복될 때까지 '9·19 군사합의' 전부의 효력을 정지하는 방안을 추진코자 합니다.] <br /> <br />북한의 서해 상 GPS 교란과 오물풍선 도발 끝에 지난해 우리 정부는 남북 사이의 9·19 군사합의의 효력을 전면 정지했습니다. <br /> <br />이에 따라 그동안 중지돼왔던 접경지와 해상에서의 군사훈련도 재개됐습니다. <br /> <br />육군에선 경기도 파주 스토리 사격장 표적지를 비롯해 군사분계선(MDL) 5km 이내 사격장 등에서 포탄 사격훈련을, 해군은 서해 완충 구역 방향으로 포병 실사격 훈련을 이어왔습니다. <br /> <br />그로부터 1년 뒤, 이를 다시 복원하겠단 공약을 내건 이재명 대통령이 당선됐습니다. <br /> <br />국무회의 의결로 효력이 정지된 9·19 합의는, 의결을 통해 다시 복원 가능한 만큼, 국무위원 구성 절차가 마무리된 이후 추진될 거로 보입니다. <br /> <br />[이재명 / 대통령(지난달 25일) : 막강한 국방력, 군사력을 우리가 유지하고 강화해나가고, 한미안보동맹도 강화하되 가능한 대화, 협력, 소통, 공존의 길을 찾아야 한다…] <br /> <br />9·19 합의가 복원되면, 무엇보다 재개됐던 훈련이 영향을 받을 것으로 관측됩니다. <br /> <br />[김용현 / 동국대 북한학과 교수 : (복원이 이뤄진다면) 휴전선과 NLL 선상에서의 실사격 훈련이나 항공, 육상, 해상에서의 모든 군사적인 위기 상황을 초래할 수 있는 것들을 예방하는 차원에서의 조치들이 당장 이루어져야(합니다.)] <br /> <br />다만, 북한이 상응하는 조치를 내릴지는 미지수입니다. <br /> <br />북한이 먼저 9·19 합의를 파기한 데다 이른바 '남북 2국가' 선언 이후 접경지 철책 공사를 비롯해 도로·철도를 차단한 상황입니다. <br /> <br />특히 러시아의 군사 지원을 등에 업은 북한이 군사력 강화를 가속화 하는 등 9·19 합의 당시와 지금의 정세가 달라진 점이 큰 변수로 꼽힙니다. <br /> <br />YTN 박희재입니다. <br /> <br /> <br />영상편집 | 정치윤 <br />보도디자인 | 임샛별 <br />자막뉴스 | 송은혜 <br /> <br />#YTN자막뉴스 <br /> <br /> <br /><br /><br />※ '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' <br />[카카오톡] YTN 검색해 채널 추가 <br />[전화] 02-398-8585 <br />[메일] social@ytn.co.kr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34_202506071602012983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social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